

역사문화현황
본문

보물
청도 운문사 금당 앞 석등
(보물 제193호)

- 시대 : 통일신라시대
- 설명 : 금당 앞에 놓여 있는 8각 석등으로,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을 중심으로, 아래에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동호
(보물 제208호)

- 시대 : 고려 문종 21년(1067) 이전
- 설명 : 전체가 검은 색조를 띠고 있으며 정확한 용도는 알 수 없으나, 감로준이라는 이름이 전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사찰의 불교 용기였다고 추측된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
(보물 제316호)

- 시대 : 고려시대(1145년 이후)
- 설명 : 고려시대 중기 승려 원응국사(1051∼1144)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. 비는 비받침, 비몸, 머릿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, 받침돌과 머릿돌이 없어진 상태로 세 쪽으로 잘린 비몸만 복원되어 있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
(보물 제317호)

- 시대 : 고려시대(10세기 초)
- 설명 : 작압전 내 모셔져 있는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추고 있는 완전한 형태의 불상(높이 0.63m)이지만, 호분이 두껍게 칠해져 세부표현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
(보물 제318호)

- 시대 : 통일신라시대 후기
- 설명 : 사천왕석주는 운문사 작압전 안에 모셔진 석조여래좌상(보물 제317호)의 좌우에 각각 2기씩 모두 4개가 돌기둥처럼 배치되어 있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동·서 삼층석탑
(보물 제678호)

- 시대 : 신라시대
- 설명 : 대웅보전 앞에 동·서로 서 있는 이 두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규모와 양식이 서로 같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대웅보전
(보물 제835호)

- 시대 : 조선시대 17세기
- 설명 : 신라시대에 세운 운문사는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쳤는데 지금 대웅전은 조선 숙종 44년(1718)에 있었던 네 번째 보수 때의 것이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비로자나삼신불회도
(보물 제1613호)

- 시대 : 1755년
- 설명 : 보광명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처일의 주도로 총 19명의 화승이 모여 제작한 불화로 삼신불을 중심으로 여러 권속을 함께 그린 1폭 형식을 취하고 있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·달마대사 벽화
(보물 제1817호)

- 시대 : 18세기 초
- 설명 : 화려한 관음보살과 호방하고 대담한 달마대사를 조화롭게 그렸다. 한 화면에 관음과 달마를 나란히 표현한 벽화의 유일한 사례이다.
- 상세보기
천연기념물
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
(천연기념물 제180호 )

- 나이 : 약 400년
- 설명 : 운문사의 앞뜰에서 자라고 있으며 높이는 9.4m, 둘레는 3.37m이다. 3m 정도의 높이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밑으로 처져 있다.
- 상세보기
시도유형문화재
청도 운문사 만세루
(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24호)

- 시대 : 17세기
- 설명 : 정면 7칸,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로 사면을 창호없이 모두 개방, 높은 기둥없이 모두 평주만으로 구성, 대들보나 퇴보 미 사용, 추녀 끝에 활주 설치 등 독특한 가구수법을 지니고 있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소조비로자나불좌상
(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03호)

- 시대 : 16세기
- 설명 : 대웅보전 수미단 위에 있으며, 양손을 가슴까지 들어 올린 후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 쥐는 지권인을 취하고 다리는 반가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사리기
(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3호 )

- 시대 : 865년
- 설명 : 작압전의 석불좌상 밑에서 발견된 것으로,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납석제유개원합, 청동사리소병, 조선시대에 추가된 사리합 뚜껑, 영락통보, 환옥(5점), 용도미상의 소석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.
- 상세보기
문화재 자료
청도 운문사 내원암 석조아미타불좌상
(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24호)

- 시대 : 조선 후기
- 설명 : 운문사 동쪽에 있는 약수로 이름난 내원암에 모셔져 있는 불상으로, 재질은 흔히 옥돌이라 부르는 것으로 경주 일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흰 돌이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내원암 산신도
(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72호 )

- 시대 : 1898년 금당에 봉안
- 설명 : 견본채색에 세로 99.0cm, 가로 64.4cm인 자그마한 크기의 그림으로, 화면은 산신과 동자, 호랑이가 중심 도상을 이루고, 소나무와 바위산, 그리고 원경의 폭포가 배경으로 등장하는 전형적인 형식이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
(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61호)

- 시대 : 1754년(영조 30)
- 설명 : 조선 후기 교파와 선파의 통합에 기여한 설송당 연초(1676∼1750)를 기리는 비석으로, 그의 제자인 남붕 등의 요청으로 건립되었다.
- 상세보기
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앞 석등
(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71호)

- 시대 : 통일신라
- 설명 : 옛 석등 부재에 신재를 추가하여 2기로 만들었던 것을 최근에 옛 석재만을 분리하여 복원한 것이다. 상륜부를 제외하고 모두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.
- 상세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