운문산생태경관보전지역

일반현황

본문

운문산 생태·경관 보전지역 현황도

보전지역 현황도 : 생태경관보호지역(산 169-1임, 산 169-5임, 산 169-4임, 산 169-1임, 산 209천)

운문산 생태·경관 보전지역 현황

  • 위 치 :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산 169-1, 169-4, 169-5 등
  • 지정면적 : 26.395㎢
  • 지정구분 : 지정지 대부분이 생태·경관 등이 우수(생태자연도 1,2등급)하여 전체 생태계 훼손방지를 위해 "핵심보전구역"으로 지정
    • 운문산 일대의 수려한 경관과 동 지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동·식물(하늘다람쥐, 산작약 등) 등 자연생태계 보전 필요
  • 토지현황 : 지정지 대부분이 "임야"이며, 운문사 및 동국대학교 소유
    토지 지목 및 소유 현황
    연번소재지지번지목면적(㎢)소유자
    합 계--26.395-
    1청도 운문면 신원리산 169-116.529운문사
    2청도 운문면 신원리산 169-43.967운문사
    3청도 운문면 신원리산 169-55.657동국대학교
    4청도 운문면 신원리산 2090.242국유

환경부 지정 생태·경관 보전지역 현황

지역명위치면적(㎢)특징지정일자
(람사르등록)
환경부 지정 : 9개소, 248.029㎢
지리산전남 구례군 산동면 심원계곡 및
피아골 일원
20.20극상원시림(구상나무등)1989. 12. 29
섬진강 수달
서식지
전남 구례군 문척면 간전면
토지면 일원
1.834수달 서식지2001. 12. 1
고산봉 붉은
박쥐 서식지
전남 함평군 대동면 일원8.78붉은박쥐 서식지2002. 8. 9
동강유역강원 영월군 영월읍, 정성군,
정선, 신동읍, 평창군, 미탄면 일원
79.259지형․경관 우수
귀 야생동식물 서식
2002. 8 .9
(`19.12.23확대)
왕피천 유역경북 울진군 서면 근남면 일원102.841지형 경관 우수 희귀야생동식물 서식2005.10.14.
(`13.07.17확대)
소황사구충남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 독산리 일원0.121해안사구 희귀 야생동식물 서식2005. 10. 28
하사동
안인사구
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사동리 일원0.234사구의 지형 경관 우수2008. 12. 17
운문산경북 청도군 운문면 일원26.395경관 및 수달, 하늘다람쥐, 담비 등
멸종위기 종 서식지
2010. 9. 9
거금도
적대봉
전남 고흥군 거금도 적대봉 일원8.365멸종위기종과 특정 야생동물 서식2011. 1. 7

생태현황

멸종위기종 1, 2등급 동ㆍ식물 및 천연기념물 등 27종 서식

  • 1급(1종) : 수달
  • 2급(15종) : 삵, 담비, 하늘다람쥐, 무산쇠족제비, 긴꼬리딱새, 벌매, 새호리기, 까막딱따구리, 조롱이, 올빼미, 붉은배새매, 팔색조, 새매, 참매, 수리부엉이
멸종위기종 1, 2등급 동ㆍ식물
  •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 깃대종 : 꼬리말발도리, 담비, 운문산 반딧불이
  •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멸종위기 동물 : 숲속의 외과의사 멸종위기(2급) 까막딱다구리
    • - 숲의 주인공인 까막딱다구리는 아주 특별하다.
    • - 산림이 잘 발달한 곳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텃새로 현재 적은 수가 살아가고 있는 멸종위기종으로 전국에 사는 까막딱다구리들 중 가장 덩치가 크다.
    • - 몸 전체가 검은색이며 머리 위에 붉은색 깃털을 가지고 있다.
    • - 4~5월에 3개~5개 정도의 알을 낳으며 육추기간은 3주 정도, 포란기간은 16일 정도, 먹이는 딱정벌레 성충과 유충을 즐겨먹고 개미와 파리도 잘 먹는다.
    • - 긴 혀와 뾰족한 부리를 구멍 속에 넣어 나무를 파먹는 해충을 잡아먹는다.
    • - 까막딱따구리는 오래된 나무에서 생활하는데 사람들이 나무를 함부로 베어내서 생활터전이 많이 파괴되었다.
이 페이지를 내 SNS로 보내기
공유
instargram
일반현황페이지의 QR Code

위 QR Code는 운문산생태탐방안내센터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.